|
국내산 비파(Eriobotrya japonica Lindley)를 첨가한 Stirred Yoghrt의 제조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2005
|
비파를 첨가한 stirred yoghurt를 제조하기 위하여 비파 착즙액 15%를 Skim milk에 첨가하여 Streptococcus thermophilus 와 Lactobacillus acidophilus 혼합균주로 발효시킨 발효유에 비...
|
|
비파(Eriobotrya japonica Lindley) 착즙액 첨가 Curd Yoghurt의 관능성 및 저장성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2005
|
비파 착즙액을 첨가한 curd yoghurt를 개발하기 위하여 비파 착즙액을 농도별(10%, 15%, 20%)로 첨가하여 제조한 curd yoghurt의 관능성과 저장성을 조사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비파 착즙액 첨가구가 향미, 단맛, 신맛,...
|
|
비파(Eriobotrya japonica Lindley) 착즙액 첨가가 요구르트 균주의 산 생성 및 증식에 미치는 영향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2004
|
한국산 비파 과실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비파 착즙액을 첨가한 기능성 yoghurt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 비파 착즙액의 농도별(10, 15, 20%) 첨가가 요구르트 균주의 산 생성 및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Str. t...
|
|
비파주스 제조 및 그 이화학적 특성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1998
|
한국산 비파과실을 이용하여 주스로서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일환으로 비파주스를 제조하여 그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생과 상태로 파쇄하여 압착ㆍ착즙을 하였을 경우 pH 3.4, 당도 8.5 oBrix, 총산 0.36% 및...
|
|
비파엽차 제조 및 그 이화학적 특성
|
농산물저장유통학회지 1998
|
한국산 비파엽을 이용하여 식품으로서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일환으로 비파엽차룰 제조하여 그 이화 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옴과 같다. 비파엽차의 제조중 일반성분은 2월 중순에 채취한 비파엽의 수 분, 조지방 및 회분 함량은 i0월에 비해...
|
|
한국산 비파의 부위별 영양성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1998
|
한국산 비파를 식품으로서의 활용도롤 높이기 위 한 일환으로 비파 부위별 영양성분울 검토하였다. 죽 비파 잎, 씨를 제거한 과실,과육 및 종자의 수분은 각각 48.7,87.8, 88.3 및 59.5%이며, 총당은 1.57,7..21, 7....
|
|
국내산 비파 열매의 화학적 성분 분석
|
한국식품과학회지 1996
|
국내에서 재배 수확되는 비파나무(Eriobotrya japonica Lindl.) 열매의 가공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기본적인 화학적 성분들을 분석하였다. 건물 기준으로 비파열매 과육과 씨의 조지질은 0.53%와 0.83%, 조단백질...
|
|
비파 유과의 발육정도에 따른 동해 및 과실내 화학성분 변화
|
HEB (hticulture, environment, and biotechnology) 1995
|
비파 유과 발육정도에 따른 동해 및 과실내 화학성 분의 변화에 관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진운. 무목 및 전중품종의 동해조사에서 과실 횡경 이 8.5mm 이하인 유과는 8.6mm 이상인 유과에 비 해 동해율이 높았다.
저온처리에...
|
|
Plastid structure and carotenogenic gene expression in red- and white-fleshed loquat (eriobotrya japonica) fruits
|
Journal of experimental botany 2012
|
Loquat (Eriobotrya japonica Lindl.) can be sorted into red- and white-fleshed cultivars. The flesh of Luoyangqing (LYQ, red-fleshed) a...
|
|
Effects of 1-methylcylopropene (1-mcp) and modifed atmopshere packing (map) on postharvest browning and microbial growth of loquat fruit
|
Journal of applied botany and food quality-angewandte botanik 2011
|
Champagne de Grasse loquat fruits were initially treated with 0 (control), 312.5 ppb and 625 ppb of 1-methylcylopropene (1-MCP) for 6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