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검색 홈>DB검색>논문정보(대파)
 
 
 
   
국내외구분 
특성별구분 
  • 대파 논문정보 (총170건)
유료 양파와 파간의 종간잡종 F1과 여교잡계통의 핵 DNA 함량  국내 
한국육종학회지 2009
Allium 속 근연종인 파와 양파간 종간교잡을 이용하여 양파로부터 새로운 형질을 도입하는 과정에서 유래되는 종간교잡 F1과 여교잡 세대들의 게놈크기의 변화를 flow cytometry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유료 국내산 Allium속(마늘, 양파, 대파)의 휘발성 함유황 유기화합물 분석  국내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구 농산물저장유통학회지) 2009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Allium속의 휘발성 유기성분과 생리적 유용성을 지닌 함유황 유기화합물을 비교 분석하였다. 마늘, 양파 및 대파를 동결 건조하여 SDE 추출법을 이용하였으며 휘발성 유기성분을 추출하고 GC/MS로 분석하였다. 건마늘의...
유료 대파 향미유의 원재료 부위별 향미특성  국내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구 농산물저장유통학회지) 2005
대파를 부위별로 분획하여 대파 전체, 잎, 줄기, 뿌리를 동량 처리하여 각각 autoclaving법에 의하여 대두유를 기질로 WOSO를 제조하였다. 이들 4종 WOSO의 이화학적 특성은 큰 차이가 없었으며, 대파 잎향미유의 경우 Lovibo...
유료 GC-MS에 의한 대파의 항산화 물질 동정  국내 
한국식품과학회지 2003
대파에 함유된 항산화 물질을 구명하고자 대파를 3가지 다른 방법으로 추출하여 대파 착즙액, 열수추출물, MeOH 추출물을 얻었다. 이들 추출물을 각각 용매분획하여 얻어진 EtOAc 가용 산성획분을 silica gel adsorption co...
유료 대파 뿌리로부터 흑색썩음균핵병균에 길항하는 Serratia plymuthica AL - 1 의 분리 및 Chitinase 의 생산  국내 
한국미생물, 생명공학회지 2002
대파 뿌리로부터 근권미생물 146종을 분리하여 대파 흑색썩음균핵병균인 Sclerotium cepivorum에 길항하는 AL-1 균주를 최종선별하였다. 분리주 AL-1은 the procaryotes와 Bergey`s mannual of sys...
유료 국화과 작물의 생장을 억제하는 대파 내의 타감물질 (他感物質)  국내 
HEB (구 한국원예학회지) 1998
When summer chrysanthemum were transplanted at sequential area of Allium fistulosum, its rooting and early growth was inhibited and wi...
유료 파의 Acid Phosphatase 의 특성  국내 
한국식품과학회지 1996
파로부터 acid phosphatase를 Sephacryl S-200 gel filtration과 CM-Sepharose CL-6B ion exchange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부분정제하였다. p-nitrophenyl pho...
유료 대파의 활성물질에 관한 연구 (2) 대파 내의 타감물질  국내 
HEB (구 한국원예학회지) 1993
Allelopathic substances from Welsh onion {Allium fistulosum) root were purified by paper chromatography and bioassayed using rice plan...
유료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β - Galactosidase from Green Onion   국내 
Biochemistry and Molecurar Biology Reports 1993
β-D-Galactosidase from the mature tissues of green onion was purified to homogeneity using a procedure involving gel-filtration, anion...
유료 파 지하부로부터 분리된 2종의 Diosgenin 배당체의 구조  국내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1993
파 지하부로부터 분리된 2종의 diosgenin 배당체의 구조를 그의 분광학적 data와 화학적 실험 등의 방법으로 결정하였다. 그 결과, 이 두화합물의 구조는 diosgenin 3-O-α-L-rhamnopyranosyl (1→2)-[α-L...
      1  [2]  [3]  [4]  [5]  [6]  [7]  [8]  [9]  [10    [다음]